전공 공부/경제성공학

[경제성공학] 원가의 정의, 구성 및 분류

Yujin Chang 2024. 10. 22. 08:05

정의

특정 물품이나 서비스와 같은 특정 자원을 얻는 데 소멸된 재화나 용역의 가치를 화폐액으로 측정한 것

구성

  • 직접원가: 원가대상에 직접 추적부과할 수 있는 원가. ex) 직접재료비(부품, 원자재), 직접노무비(작업자 임금), 직접경비(보관비, 운반비) 등
  • 제조간접비: 여러 제품의 제조에 공통적으로 소요된 공통비. ex) 간접재료비, 간접노무비, 간접경비 등
  • 제조원가: 직접원가 + 제조간접비
  • 일반관리비: 관리, 연구, 교육, 사무실 운영비 등 제조 과정 이외의 모든 회사 운영 비용

소비형태에 따른 분류

  • 재료비: 물질의 소비에 따라 발생. ex) 원부재료비, 매입부품비, 소모품비 등
  • 노무비: 노동용역의 소비에 따라 발생. ex) 임금, 각종 수당, 퇴직금 등
  • 경비: 재료비, 노무비 외의 모든 원가요소 ex) 감가상각비, 전기세 등

원가형태에 따른 분류

  • 고정비: 조업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필요한 일정 비용. ex) 임차료, 감가상각비 등
  • 변동비: 조업도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동하는 원액. ex) 직접재료비, 직접노무비
  • 준고정비: 일정한 원가가 적용되고, 조업도가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면 원가총액이 증가됨. 계단식 그래프. ex) 기계장비
  • 준변동비: 조업도가 0인 경우에도 일정액이 발생하고(고정비), 조업도가 증가하면 거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(변동비) 고정비와 변동비가 합쳐진 형태의 원가. ex) 전기세/수도세(기본료+사용량에 따른 요금) 등

추정가능성에 따른 분류

  1. 직접비: 제품의 제조 또는 판매를 위하여 직접 소비되는 것으로 파악되는 원가
  2. 간접비: 개별 제품에 대해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원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