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격증/정보처리기사
[정보처리기사] 실기 시험 직전 중요 이론 요약 (4. 네트워크)
Yujin Chang
2025. 4. 17. 09:15
흥달쌤 정보처리기사 실기 강의 중 마무리특강을 수강하며 중요하다고 생각되거나 잘 안 외워지는 내용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.
데이터 교환 방식
- 회선 교환
- 축적 후 교환
- 패킷 교환
- 데이터그램 방식 (UDP와 유사)
- 가상회선 방식 (TCP와 유사)
- 메시지 교환
- 패킷 교환
HDLC: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비트 지향 프로토콜
- 프레임 구조: 플래그, 주소 필드, 제어 필드, 데이터, FCS
- 프레임 유형: 정보 프레임, 감독 프레임, 비순서 프레임
- 전송 모드
- 정규 응답 모드 (NRM): 주국 1 : 종국 N
- 비동기 균형 모드 (ABM): 주국 N (모든 단말이 주국 기능 수행)
- 비동기 응답 모드 (ARM): 주국이 통신을 제어, 종국도 자체적으로 데이터 전송
IP 관련 기술
- NAT: 사설IP ↔ 공인IP 변환
- DNS: 도메인 이름 ↔ IP 변환
- QoS: 트래픽의 성능, 속도 보장
- VPN: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 접속
- DHCP: IP 자동 할당 프로토콜
프로토콜: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화된 통신 규약
- 요소: 구문(Syntax), 의미(Semantics), 타이밍(Timing)
오류 제어
- Stop-and-Wait ARQ
- Go-Back-N ARQ: 오류 발생 지점부터 모든 데이터 재전송
- Selective Repeat ARQ: 오류가 발생한 특정 프레임만 재전송
- Adaptive ARQ
라우터: 패킷의 경로 설정, 스위칭 담당 장비
라우팅 프로토콜
- 정적 라우팅
- 동적 라우팅
- IGP
- 거리 벡터 알고리즘 기반
- RIP: 계산 시 노드↔노드 사이의 홉수 적은 것 선택
- IGRP
- 링크 상태 기반
- EIGRP
- OSPF: 계산 시 총 거리의 합 작은 것 선택
- 거리 벡터 알고리즘 기반
- EGP
- BGP
- IGP
OSI 7계층: 응용, 표현, 세션, 전송, 네트워크, 데이터 링크, 물리
TCP/IP 4계층: 응용, 전송, 인터넷, 네트워크 엑세스
ARP: IP주소 → MAC주소, RARP: MAC주소 → IP주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