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자격증/정보처리기사

[정보처리기사] 실기 시험 직전 중요 이론 요약 (3. 운영체제)

by Yujin Chang 2025. 4. 16.

흥달쌤 정보처리기사 실기 강의 중 마무리특강을 수강하며 중요하다고 생각되거나 잘 안 외워지는 내용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.

 

운영체제 운용 기법

  • 일괄(배치) 처리 시스템: 여러 작업을 묶어서 처리
  • 실시간 처리 시스템: 요청 작업을 즉시 처리
  •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: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
  • 시분할 시스템: 시간을 분할하여 시스템을 공유
  • 다중 처리 시스템: 여러 CPU를 이용하여 처리
  • 다중 모드 시스템: 운용 기법을 혼합하여 사용

Unix

  • 커널: 시스템 관리 기능 수행
  • 쉘: 명령어 해석기
  • 권한 변경: chmod (ex: chmod 751 text.txt)
  • 파일 소유자 변경: chown

단편화: 주기억장치에 프로그램을 할당하고 반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빈 공간

  • 내부 단편화: 주기억장치에 남은 공간 (ex: 20k 주기억장치에 15k 프로그램 → 내부단편화 5k)
  • 외부 단편화: 할당되지 못하고 남은 공간 (ex: 20k 주기억장치에 30k 프로그램 → 외부단편화 20k)

페이지 교체 알고리즘

  • FIFO: First In First Out
  • LRU: Least Recently Used
  • LFU: Least Frequently Used

프로세스 상태 전이

 

프로세스 스케줄링 기법

  • 선점형: 실행 중인 프로세스로부터 CPU를 강제로 빼앗을 수 있음 (종류: Round-Robin, SRT (Shortest Remaining Time) 등)
  • 비선점형: 프로세스가 CPU를 점유 중이라면 강제로 빼앗을 수 없음 (종류: FCFS (First Come First Service), SJF (Shortest Job First), HRN (Hightest Response-ratio Next: (대기시간+실행시간) / 실행시간) 등)

교착 상태 (Dead Lock):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을 요구하며 무한정 대기하는 현상

  • 발생 조건: 상호 배제, 점유 및 대기, 비선점, 환형 대기

디스크 스케줄링 종류

  • FCFS (First Come First Service): 요청이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
  • SSTF (Shortest Seek Time First): 현재 헤드에서 가장 가까운 트랙 요청 먼저 처리
  • SCAN: 진행 방향 쭉 스캔 → 끝까지 이동했다가 다시 반대 방향 쭉 스캔
  • C-SCAN: 진행 방향 쭉 스캔 → 끝까지 이동하면 반대쪽 끝으로 이동한 후 다시 같은 방향으로 쭉 스캔
  • LOOK: 진행 방향 쭉 스캔 → 해당 방향의 마지막 요청 처리 후 반대 방향 쭉 스캔
  • C-LOOK: 진행 방향 쭉 스캔 → 해당 방향의 마지막 요청 처리하면 반대쪽 맨 끝의 요청으로 이동한 후 다시 같은 방향으로 쭉 스캔
  • N-STEP SCAN: SCAN과 비슷하지만 처리 중 들어오는 요청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처리한다는 차이점이 있음

스토리지: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

  • DAS (Direct Attached Storage): 직접 연결
  • NAS (Network Attached Storage): LAN(네트워크)을 통해 서버와 연결
  • SAN (Storage Area Network): 파이버 채널 스위치를 통해 연결 (고속)